본문 바로가기

나스닥12

[장기투자] 블로그 주인의 자산과 수익률은 얼마나 될까?(TSLA, LICY, IONQ) 오랜만에 장기투자 관련글로 찾아뵙는것 같습니다. 사실 장기투자는 본인이 공부하고 투자하는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마인드셋업만 관련글을 올리려고 했으나, 주인장은 어떤 기업에 투자중인지, 또 장기적인 관점으로 어떤 주식을 신규매수하고 있는지 공유하면 좋을 것 같아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먼저 제 장기투자 목록부터 공유하겠습니다. 사실 평균단가와 수량은 공유하지 않으려 했으나, 그냥 저 나름대로도 기록관련차원에서 올리기로 했습니다. 참고로 저는 자산의 크기순으로 볼때 부동산 비율이 가장 높으며, 그다음은 채권과 주식임을 알려드립니다. 오늘은 먼저 제 포트폴리오를 공유시켜드리고, 다음 기회에 LICY(리사이클 홀딩스)에 대한 자료를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재테크/장기투자 현황 2022. 7. 23.
[스윙투자] PSQ 전량 매도, UPRO 수량 확대 시장이 분위기가 반전되었습니다. 뭐 하루하루에 일희일비 하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지표상으로 나스닥은 하락추세에서 벗어나고 있기 때문에, 포지션 변경을 기록차 남깁니다. *종목 1. UPRO (S&P500 3배 레버리지) - $35.71(27주) - 2차 재매수 진행 2. UDN (USDX 인버스) - $18.52(54주) 3. NKE (나이키) - $106.25(5주) 5. PSQ(QQQ 정배수 인버스) - $13.95(10주) - $13.70 전량매도 1. UPRO (S&P500 3배 레버리지) 달러의 움직임에 쫄아서(?) 일단 수익권에서 전량 매도를 하였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달러하락과 동시에 금리인상 1%설이 수그러들면서 시장이 강하게 기술적 반등을 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당시 장중에 잠을.. 재테크/스윙투자 현황 2022. 7. 19.
주식투자 포트폴리오, 올바른 분산투자 전략방법. 주식투자에는 여러 전략과 방법들이 있습니다. 딱히 '무엇이 정답이다' 라고 할만한게 없는게 현실이기도 하죠. 하지만 '옳지 않은 방법'은 존재합니다.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그래도 초보자 입장에서 지양해야할 분산투자 방법과, 그 해결방안을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1. 분산투자 하지마라 분산투자는 말 그대로 투자를 분산하는 것입니다. A주식도 투자하고 B주식도 투자하고 C주식도 투자하는 것을 말하죠. 분산투자의 효과는 큰 리스크를 막아준다는데 있습니다. 예를들어 자산이 쪼개어져 있을수록 한 가지 주식에 몰려있는 투자가 큰 손실이 일어났을 때를 대비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목적으론 헷징이 있습니다. 쉽게말해 A주의 손실율을 B주식의 수익율로 상쇄시켜주는 것이죠. (헷징이라 함) 즉, 분산투자.. 재테크/주식투자 이야기 2022. 7. 14.
2022년 하반기, 나는 어떤 투자자가 될것인가? -스윙투자 편 저는 주식투자가 어느정도의 중독성이 있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주식투자를 시작 하고나서 매일 보고있는 차트와 매수버튼을 누르고 싶어서 근질거리는 저를 보곤 합니다. 그래서 스윙투자를 장기투자와 함께 병행한다면, 나름 중독성을 해소해주며, 과도하고 무분별한 매매를 방지해주는 좋은 수단이 되기도 합니다. 스윙투자는 어떻게보면 단타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통상적으로 단타는 1주~한달 미만의 거래 혹은 하루에 거래를 끝낼때를 말하고, 스윙투자는 그것보다는 조금 긴 1주~ 1달 이상의 거래를 칭합니다. 또한, 스윙투자는 장기투자와 다르게 원칙을 지켜나간다면, 꾸준한 매매로 원칙에 기반한 수익률을 확보하게 됩니다. 여기서 확보하게 된 수익률은 장기투자와는 다르게 묶여있는 돈이 아니기 때문에, 현금운용에 도움을 주기도.. 재테크/주식투자 이야기 2022. 7. 4.
2022년 하반기, 나는 어떤 투자자가 될것인가? - 장기투자 편 사람이 백명이라 친다면, 백명 모두 다른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슷할 지언정 같다고는 할 수는 없을것이 분명합니다. 투자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은 투자처럼 보일지언정 본인의 심리 성향이 반영되어 똑같이 투자하는 사람은 없는것이죠. 오늘은 주식을 입문한지 얼마 안된분들과, 주식투자를 하고 있지만 아직도 매매에 갈팡질팡 하시는 분들을 위한 설명글입니다. 부디 이 글을 참고하셔서 본인의 투자스타일을 잡아가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1. 장기투자 말 그대로 입니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기업의 내재가치와 미래의 시장규모를 생각해서 우직하게 투자해나가는 스타일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초보자 기준 1-2년 이상이라면 장기투자라고 생각합니다. 장기투자에 적합하신 분들은 아래의 성향과 같습니다. 1) 내가 평소에 천천.. 재테크/주식투자 이야기 2022. 7. 3.